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
펴낸곳 (주)푸른길
엮은이 한국지역지리학회
지은이 이철우 외
정 가 30,000원
ISBN 978-89-6291-849-6 93980
사 양 188*254, 536쪽
초판 1쇄 발행일 2019년 12월 31일
분 야 학술>지리학/ 교육학>지리교육학
지역지리학의 패러다임에 대한 성찰과
새로운 지역지리교육의 방향 설정
이 책은 실증주의 패러다임과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도입 이후 지역지리학의 위기 속에서 우리나라 지역지리학 및 지역지리교육의 발전에 큰 버팀목이 되어 온 한국지역지리학회가 최근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역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성과를 확산하고자 기획한 것이다.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역지리교육에 대한 세부 주제를 설정한 후 이에 적합한 해당 분야 전문가를 섭외하여 25편에 걸친 원고를 수합했다.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역지리교육의 최신 연구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둔 이 책은 지역지리학의 위기 속에서 새로운 지역지리학의 패러다임에 대한 성찰과, 이에 기반한 새로운 지역지리교육의 방향을 설정한 첫 시도이자 성과물이라고 자부한다.
이 책은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루고 있으며, 크게 ‘지역지리학과 지역지리교육의 이론적 접근’, ‘한국은 지역지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 ‘세계는 지역지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의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지역지리학과 지역지리교육의 이론적 접근’에서는 새로운 지역지리학의 필요성과 지리교육의 역할, 새로운 지역지리학, 지리교육에서 장소 이해에 대한 관계적 전환, 신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 지역지리교육에서 논의점과 교육과정 구성 방법, 지역 학습의 논리와 교과핵심 역량, 위치지식과 지역학습, 들뢰즈와 지리교육 등에 대한 논의와 새로운 지역 지리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다루고 있다.
제2부 ‘한국은 지역지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에서는 한국의 지역지리교육을 초등과 중고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초등 지리교육과정과 지역학습을 파악하고 다중스케일적 접근을 통한 초등 지역학습을 살펴본다. 또한 사회(지리) 교과서에 반영된 지역 인식과 지역 기술,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 개발에 대해 대안적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중고등 지역지리교육에서는 중학교 지역지리 교육내용 조직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국토지리 교육의 정향, 지역 이해, 세계지리의 내용체계와 권역 단원, 세계화 시대의 세계지리 교육, 국제계열 교육과정에서 「지역 이해」 과목의 위상과 정체성 확립 방안, 개념 중심의 지역지리 강의 등에 대한 논의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제3부 ‘세계는 지역지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에서는 미국 대학의 세계지리 수업 탐색, 영국 지역지리 교육과정, 오스트레일리아 지리교육과정과 지역지리의 위치, 독일 지리교육의 발달, 20세기 이래 중국 지역지리 과정의 변화, 프랑스 지리 교육과정 내용구성 방식의 변천사를 다루었다.
저자 소개
한국지역지리학회_게재순
이철우(경북대학교)
최병두(대구대학교)
황규덕(경기 안성고등학교)
박배균(서울대학교)
손명철(제주대학교)
조성욱(전북대학교)
심광택(진주교육대학교)
김다원(광주교육대학교)
김병연(대구 다사고등학교)
이동민(가톨릭관동대학교)
최재영(대구가톨릭대학교)
권은주(서울대학교)
송언근(대구교육대학교)
박선미(인하대학교)
전종한(경인교육대학교)
조철기(경북대학교)
이종호(경상대학교)
김대훈(경기 고잔고등학교)
황진태(서울대학교)
박지연(서울대학교)
신수현(서울대학교)
이현주(서울대학교)
김민성(부산대학교)
김갑철(대구 동변중학교)
김현미(한국교육과정평가원)
안영진(전남대학교)
동위지(옌볜대학교 사범대학)
김석주(옌볜대학교)
이상균(동북아역사재단)
차례
발간사
제1부 지역지리학과 지역지리교육의 이론적 접근
제1장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
1. 새로운 지역지리학의 필요성과 지리교육의 역할 _이철우
2. 새로운 지역지리학의 재구성과 전망 _최병두
3. 지리교육에서 장소 이해에 대한 관계적 전환의 필요성 _황규덕·박배균
4. 신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 _손명철
제2장 새로운 지역지리교육을 위한 방향 설정
5. 지역지리교육에서 논의점과 교육과정 구성 방법 _조성욱
6. 지역 학습의 논리와 교과핵심 역량 _심광택
7. 위치지식과 지역학습 _김다원
8. 들뢰즈와 지역지리교육 _김병연
제2부 한국은 지역지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
제3장 한국의 초등 지역지리교육
9. 초등 지리교육과정과 지역학습 _김다원
10. 다중스케일적 접근을 통한 초등학교 지역학습 _이동민·최재영·권은주
11. 사회(지리) 교과서에 반영된 지역 인식과 지역 기술 _심광택
12. 초등 사회과 지역 수준 교육과정과 지역 교과서의 발달: 대구시를 사례로 _송언근
제4장 한국의 중등/고등 지역지리교육
13. 중학교 지역지리 교육내용 조직의 특징과 문제점 _박선미
14. 통일한국에 호응하는 국토지리 교육의 정향 _전종한
15. 지역 이해, 그 (불)가능성 _김병연
16. 세계지리의 내용 체계와 권역 단원 _전종한
17. 세계화 시대의 세계지리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_조철기·이종호
18. 국제계열 교육과정에서 「지역이해」 과목의 위상과 정체성 확립 방안 _김대훈
19. 개념 중심의 지역지리 강의하기: 위험경관 개념을 사례로 _황진태·박지연·신수현·이현주
제3부 세계는 지역지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
20. 미국 대학의 세계지리 수업 탐색 _김민성
21. 영국 지역지리 교육과정: ‘강한’ 교육에서 ‘약한’ 교육으로 _김갑철
22. 오스트레일리아 지리교육과정과 지역지리의 위치 _조철기·김현미
23. 독일 지리교육의 발달: 지리교육과정의 변천을 중심으로 _안영진
24. 20세기 이래 중국 지역지리 과정의 변화 _동위지·김석주
25. 프랑스 지리 교육과정 내용구성 방식의 변천사 _이상균·김병연
'지리의 이해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R을 이용한 공간정보 분석 (0) | 2020.06.30 |
---|---|
GEO-INSIGHT 하노이 (0) | 2020.01.02 |
신비, 성실, 모험의 제주 전통 경관 (0) | 2019.11.29 |
세계의 카르스트지형 (0) | 2019.10.21 |
우리의 얼음이 사라지고 있다 (0) | 2019.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