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술72

한반도 메가리전 발전 구상Ⅱ 서해-경기만 접경권남북공동경제특구 조성 한반도 메가리전 발전 구상Ⅱ 서해-경기만 접경권남북공동경제특구 조성 펴낸곳┃(주)푸른길 지은이┃이정훈 외 엮은이┃경기연구원 정 가┃30,000원 ISBN┃978-89-6291-980-6 93980 사 양┃188*254, 304쪽 초판 1쇄 발행일┃2022년 8월 16일 분 야┃지리학 대화와 개방의 장으로 이끄는 동북아시아 네트워크의 중심 한반도 메가리전 남북공동경제특구 구상의 함의와 실천 방안 제시 한반도 메가리전은 남북한이 인프라를 공유하고 경제적으로 긴밀히 연계하며 인적자원과 자본이 집적되는 대도시권역을 지칭한다. 공동번영의 중심이자 성장 동력으로서 한반도 메가리전의 공간 범위는 남북한의 수도권과 접경지역이다. 한반도 메가리전은 남북 간 신뢰와 교류협력의 축적을 바탕으로 완성해야 하는 장기 프로젝트이.. 2022. 8. 17.
리터러시와 시민성교육 리터러시와 시민성교육 펴낸곳┃(주)푸른길 지은이┃이경한, 서현석, 탁병주, 최은아, 신기철, 정영식 정 가┃14,000원 ISBN┃978-89-6291-960-8 93370 사 양┃152*225, 208쪽 초판 1쇄 발행일┃2022년 5월 9일 분 야┃교육학, 사회학 복잡하고 불확실한 현대 사회에서 주체적이고 생산적인 존재로 살아가려면 우리에게 필요한 역량은 과연 무엇일까?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우리 주변은 셀 수 없이 많은 정보가 넘쳐난다. 손 뻗으면 닿는 거리에 다양한 자료를 접할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은가. 그러나 문제는 자료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만큼 확실하지 않은 정보 또한 늘어난다는 것이다. 방금 내가 얻은 자료가 제대로 된 정보라는 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무분별하게 쏟아지.. 2022. 5. 4.
생태전환시대 생태시민성 교육 생태전환시대 생태시민성 교육 펴낸곳┃(주)푸른길 지은이┃이경한, 김병연, 조철기, 최영은, 김다원, 이상훈 정 가┃16,000원 ISBN┃978-89-6291-958-5 93980 사 양┃152*225, 233쪽 초판 1쇄 발행일┃2022년 4월 30일 분 야┃교육학, 지리학 오늘 우리가 사용한 물건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 걸까? 그 흐름을 생각하는 것에서부터 지구생태계의 아픔에 공감하기까지 최근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면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는 생태시민성은 지구 환경문제를 가져온 구조적인 측면을 인식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지구 환경보호와 이를 위한 시민들의 참여와 실천을 강조한다. 지구생태계를 중심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생태시민성이 필요하다. 생태시민성은 생태감수성을 기르는 .. 2022. 4. 26.
경기만의 어제와 오늘 경기만의 어제와 오늘 펴낸곳┃(주)푸른길 지은이┃이정훈·김갑곤 외 정 가┃22,000원 ISBN┃978-89-6291-956-1 93980 사 양┃152*225, 344쪽 초판 1쇄 발행일┃2022년 3월 25일 분 야┃지리학 평화번영과 해양문화공동체 구축을 위한 경기만의 역사적·지리적·문화적 복원 경기지역학 연구 활동은 2015년 경기학회가 설립되면서부터 조직화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2019년부터는 경기지역 연구단체가 참가하는 경기학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활동을 공유해 왔다. 경기학 학술연구단체들은 연구의 주요 성과를 단행본으로 출간하고자 뜻을 모았고, 그 결과로 경기학총서 시리즈의 첫 번째 간행물인 이 책이 탄생하였다. 경기만은 한반도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핵심 키워드로 경기.. 2022. 3. 25.
생명과학기술과 정치 생명과학기술과 정치 펴낸곳┃(주)푸른길 지은이┃고우정, 권혜연, 김동현, 김영근, 박지영, 박진곤, 연상모, 정진화, 한의석 정 가┃18,000원 ISBN┃978-89-6291-953-0 93190 사 양┃152*225, 276쪽 초판 1쇄 발행일┃2022년 2월 28일 분 야┃정치, 사회 인공수정, 시험관아기, 유전자 조작, 최근의 크리스퍼 기술(유전자 가위)에 이르기까지 생명과학기술은 그 끝을 모르고 발전하고 있다. 생명을 다루는 만큼 생명과학기술은 언제나 윤리적·철학적 논쟁의 대상이었다. 빠르게 달리는 생명과학기술이라는 열차가 탈선하지 않도록 누가, 어떻게 적절히 제동을 가할 것인가. 과학과 정치가 대립하는 지점이다. 여기에는 과학의 객관성을 들어 과학과 정치가 구분되어야 함은 물론 과학이 우선되어.. 2022. 3. 4.
제왕적 대통령제와 정당: 20년간의 정당 모델·공천·선거법논쟁과 성찰 제왕적 대통령제와 정당 : 20년간의 정당 모델·공천·선거법논쟁과 성찰 펴낸곳┃(주)푸른길 지은이┃채진원 정 가┃18,000원 ISBN┃978-89-6291-950-9 93340 사 양┃152*225, 360쪽 초판 1쇄 발행일┃2022년 2월 18일 분 야┃사회과학>정치학 제왕적 대통령제, 어떻게 문제가 되는가? 21세기 시대 상황과 대통령제 정부 형태에 부응하는 대안적인 정당 모델, 공천 방식, 선거법을 알아보다 제왕적 대통령제란 권력 분립의 원리가 작동해야 하는 대통령제 국가에서 대통령 1인에게 권력이 집중되어, 의회나 다른 기관의 견제가 현저히 약화되고 대통령이 제왕적 권력을 가지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것은 개헌 논의에서뿐만 아니라 대통령을 비판할 때 반대 진영에서 흔히 쓰는 논리로도.. 2022.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