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무송6

세계의 카르스트지형 세계의 카르스트지형 펴낸곳 (주)푸른길 지은이 서무송 정 가 30,000원 ISBN 978-89-6291-836-6 93980 사 양 190*260, 268쪽, 양장 초판 1쇄 발행일 2019년 10월 24일 분 야 지리/지리학, 과학 90이 넘은 오늘날에도 답사를 꿈꾸는 열정 노학자의 카르스트지형 세계대사전 이 책의 저자는 석회암 동굴이 발달한 중국 길림성 조선족자치주 백두산 입구인 안도현 명월진에서 태어났다. 석회암 암벽에 물때가 묻은 건폭을 바라보며 유년시절을 보낸 그가 평생을 카르스트지형을 연구해 온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지리학과에서의 학창시절부터 교단에서 지리학과 학생들을 지도하기까지 저자의 카르스트지형에 대한 열정과 사랑은 변함이 없었다. 1996년에는 그가 해 온 연구의 성과.. 2019. 10. 21.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바이칼호까지 극동 시베리아의 세 도시, 그리고 바이칼호의 성인과 주변 지형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바이칼호까지 극동 시베리아의 세 도시, 그리고 바이칼호의 성인과 주변 지형 펴낸곳 ❘(주)푸른길 지은이 ❘서무송 정 가 ❘20,000원 ISBN ❘978-89-6291-417-7 93980 사 양 ❘170×210mm, 200쪽 1판 1쇄 발행일 ❘2017년 7월 17일 분 야 ❘학술 > 지리학 TEL 02-523-2907 FAX 02-523-2951 Homepage www.purungil.co.kr 인류 공동의 자연유산 바이칼호를 찾아 떠난 老지리학자! 이 책을 쓴 서무송은 우리나라 석회암동굴 연구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90 평생을 살면서 최근까지도 답사를 다니며 무려 60년을 지리학, 특히 카르스트지형 연구에 매진하였다. 또한 21세기 지표상에 남은 유일한 탐험공간인 지하의 암흑세계, .. 2017. 7. 11.
[교수신문]에 소개된 '내 인생의 지리학' 시리즈 『교수신문』에 푸른길의 '내 인생의 지리학 시리즈' 『나의 지리답사 60년』, 『어느 地理人生 이야기』가 소개되었습니다. 조용하지만 깊이 흐르는 '내 인생의 지리학' 시리즈 책들의 풍경_두 지리학자의 지리학 인생 이야기 김인 교수의 『지리인생』이 강단 연구자의 기록이라면,서.. 2016. 12. 22.
나의 지리답사 60년(2판) 내 인생의 지리학 나의 지리답사 60년 펴낸곳 / (주)푸른길 지은이 / 서무송 정 가 / 25,000원 ISBN / 978-89-6291-373-6 03980 사 양 / 188×258mm, 280쪽 2판 1쇄 발행일 / 2016년 12월 5일 분 야 / 인문/교양 > 지리의 이해 TEL / 02-523-2907 FAX / 02-523-2951 Homepage / www.purungil.co.kr 담당 편집 / 이교혜(purungilbook@daum.net) ‘내 인생의 지리학’ 시리즈를 시작하며 일제강점기에는 한국의 국토를 연구하거나 지리를 교육할 수가 없었다. 대학에는 단 하나의 지리학과도 세울 수 없었으며, 초·중등학교에서는 오로지 일본지리를 중심으로 지리를 가르쳤다. 1945년 광복과 더불어 미군.. 2016. 11. 25.
[미디어]잃어버린 땅 녹둔도 잃어버린 땅 두만강 녹둔도 - <연합뉴스> 두만강 하구에 있는 녹둔도(鹿屯島). 현재 러시아령으로 돼 있는 이 땅을 되찾자는 목소리가 나오 고 있다. 원로 지리학자 서무송씨는 “역사적으로 보나 지리적으로 보나 녹둔도는 우리 영토임에 틀림없다” 며 이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해야 할 것“이라.. 2005. 4. 22.
지리학 삼부자의 중국 지리 답사기(상/하) 지리학 삼부자의 중국지리 답사기 - 상.하 서무송 외 지음/신국판/각권 18,000원 서무송 선생 일가는 대를 이어 지리학도의 길을 걷고 있는 특이한 가족이다. 서무송 선생은 젊은 시절 지리학에 발을 담근 이후 줄곧 지리학도의 길을 걷고 있으며 희수를 바라보는 나이에도 거침없이 답사를 떠난다. 그의 아들들도 아버지의 뜻을 이어 지리학을 전공하고 교단에 섰으며 어린 학생들이 지리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데 온 힘을 바치고 있다. 이 책은 이들 세 부자가 10여 년간 7차에 걸쳐 중국 대륙을 답사한 내용과 감동을 우리에게 전하는 대기록이다. 여기에는 자신들의 주요 관심사인 지형 쪽 부문만이 아니라 중국인들과 부딪히면서 얻은 그들의 생활 방식과 사고 등 모든 지리적인 내용이 망라되어 있다. 하나의 지리서인 동.. 2005.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