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의 지리학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지음/ 188*254/ 440쪽/ 2008년 5월 28일 출간/ 28,000원/
ISBN 978-89-87691-99-2 93980
지명은 장소의 이미지를 반영한다
지명은 사람들이 주변의 지표, 취락, 지형, 하천 등에 붙이는 고유한 이름으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지명은 직접적으로 인식된 공간 형태를 나타내기도 하고, 정치적 변화의 역사를 반영하기도 한다. 그뿐만 아니라 민속이나 인구 이동, 언어의 확산과 음운 변화, 지표를 점유한 인간의 환경에 대한 지각과 변경, 환경에 대한 인간의 가치 평가와 관념 등 다양한 문화를 반영하는 일종의 문화유산이다. 또한 지명은 지리학이 추구해 온 지역성 파악에도 매우 유용한 요소이다.
지금까지 지명의 연구는 역사적 관점이나 어원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고지명에 관한 내용이 대부분이며, 지리학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물론 지리학자들도 지명 연구의 중요성을 오랫동안 인식해 왔고, 상당한 연구를 진행시켜 왔다. 지리학적인 지명 연구가 중요한 까닭은 지명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형 내지 변질되거나 확대․축소 또는 생성․소멸하는 유기체와 같은 존재이므로 지역성과 공간적 속성을 지닌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특히 오래된 지명에는 그 장소의 시대적 우여곡절이 담겨 있기 때문에 하나의 지명으로부터 흥미 있는 사실들을 밝힐 수 있다. 그런데도 지리학 분야에서 지금까지 지명 연구와 관련된 책이 출간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놀라울 뿐이다.
우리나라 지명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책
이 책은 창립 20주년을 맞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가 그동안의 지명에 대한 연구 성과를 한데 묶은 것으로, 우리나라 지명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이 책은 크게 지명과 역사, 지명과 문화, 지명과 사회의 3부로 구성하였다. ‘1부 지명과 역사’에서는 지명의 기원과 분포, 지명에 함의되어 있는 자연환경, 지명의 변천, 고지도에 나타난 지명 위치 비교 등 지명을 역사적으로 접근하였다. ‘2부 지명과 문화’에서는 지명의 지역적 특색과 전통적 특색, 생활 방식과 사회적 조직과 관련된 지명 등 지명에 반영되어 있는 지역 문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3부 지명과 사회’에서는 동해 지명에 대한 정치지리적 함의, 지리교육적 측면에서의 지명의 분석과 중요성,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과 발전 방향, 일본식 지명의 관리와 정비 방안 등에 관해서 논의하였다.
특히 책의 앞부분에 실은 ‘지리학에서 지명 연구 동향’을 통해 앞으로의 지리학적 지명 연구의 과제를 모색하였다.
이 책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늘 만나지만 범상한 것으로 지나치는 무수한 지명에 담긴 의미들을 지명 연구자는 물론,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진 일반인들과 되새겨 볼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 저자 소개 _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권선정_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김기혁_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전공 교수
김순배_청주 수곡중학교 교사
김종혁_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김학범_한경대학교 이공대학 조경학과 교수
남영우_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박태화_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심보경_ 한림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교수
양보경_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교수
오상학_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전공 교수
이기봉_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이기석_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이민부_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이영희_숭의여자대학 관광과 교수
이혜은_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임덕순_충북대학교 명예교수
임종옥_부산 건국고등학교 교사
장동수_한경대학교 이공대학 조경학과 교수
장의선_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전종한_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정치영_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차례
책을 펴내며
지리학에서 지명 연구 동향 | 김기혁·임종옥
1부 지명과 역사
두모계 고지명(古地名)의 기원과 분포 | 남영우
추가령(楸哥嶺) 지명에 관한 지형학 및 역사지리적 해석 | 이민부·전종한
지명 변천 요인의 지역적 함의(含意) - 16세기 이후 대전 지방의 한자 지명을 사례로- | 김순배
≪청구도(靑邱圖)≫와 ≪동여도(東輿圖)≫의 지명 위치 비정에 대한 일고찰
- 충청도의 해미현을 사례로- | 이기봉
2부 지명과 문화
영남 지방 지명에 관한 연구 -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사례 - | 박태화
지명에 나타난 지역 문화 | 이혜은
한국 전통숲[林藪]의 지명에 관한 연구 | 장동수·김학범
지명의 사회적 구성 - 조선 시대 회덕현의 ‘송촌(宋村)’을 사례로 - |권선정
조선 말기 농작물 관련 마을명의 분포와 특성 | 정치영
북한 개성특급시 역사·문화지명의 유래와 특성 | 이영희
3부 지명과 사회
정치지리학적 시각으로 본 동해(東海) 지명 | 임덕순
‘동해(東海)’ 지리 명칭의 역사와 국제적 표준화를 위한 방안 | 이기석
동해(東海) 지명과 조선 시대의 고지도(古地圖) | 양보경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지명 분석 | 오상학
지리과 내용 요소로서 ‘지명’의 의미 탐색과 교수-학습의 실제 | 장의선
한국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과 발전 방향 | 김종혁
우리나라 일본식 지명의 관리와 정비 방안 연구
- 경기도 여주군 산지 지명을 사례로 - | 김기혁·심보경
'지리의 이해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중접경지역 : 전환기 북중 접경지역의 도시네트워크 (0) | 2011.02.25 |
---|---|
[조선기행록] 고토 분지로 지음 (0) | 2010.12.13 |
사회지리학의 이해 (0) | 2008.02.28 |
휴먼 임팩트(The Human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0) | 2007.12.08 |
기후학 (0) | 2007.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