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
세계 각국의 시민-정당 연계 동향과 쟁점
펴낸곳❘(주)푸른길
지은이❘미래정치연구소
윤종빈·정회옥 외
정 가❘25,000원
ISBN ❘978-89-6291-267-8 93340
사 양❘152*225*26, 496쪽
초판 1쇄 발행일❘2014년 12월 31일
분 야❘사회과학>정치학
TEL ❘02-523-2907
FAX ❘02-523-2951
Homepage❘www.purungil.co.kr
담당 편집❘정혜리(pur904@purungil.co.kr)
사회 통합에 이르는 가장 궁극적인 방법에 대한 고찰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의 정치제도가 선진국 수준이라고 하지만, 여전히 전문가들조차 설명하지 못하는 정치적 현상이 너무나 많은 것이 현실이다. 아직도 정치학자들은 당원협의회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과거의 지구당과는 어떻게 다른지, 이를 유지하기 위해 실제로 어느 정도 규모의 돈이 투입되고 있는지 등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정치인과 정당이 일반 유권자와의 유대를 위해 어떠한 콘텐츠를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를 들어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연구팀은 시민과 정당·정치인의 유대를 위한 접촉에 관해 이론적, 경험적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 첫 번째 결과물이 바로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이다.
세계 각국 사례의 비교 분석을 통한 한국적 사회 통합을 모색하다
이 책의 주제이자 가장 중요한 화두는 바로 사회 통합이다. 정치적, 경제적 분열로 인해 사회 구성원 간의 화합이 부족한 지금의 한국 사회에서, 저자들은 사회 통합이라는 현안에 대한 학문적 고민을 이 책에 담고 있다. 미래정치연구소의 연구원들은 한국의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한국 정치의 ‘시민-정당 간의 연계(linkage) 약화’에 주목하였다. 정당의 시민에 대한 대표성을 제고하는 것이 통합된 한국 사회에 이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은 다양한 지역들을 서로 비교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한국 사회의 통합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범위를 한국에만 국한하지 않고 동유럽, 유럽연합, 미국, 일본 등 해외의 여러 지역까지 포함하였다.
이 책의 1부에서는 양극화, 반정부 시위, 그리고 에너지 안보 위기에 초점을 둔 동유럽의 동향 및 쟁점을 다루며, 2부에서는 극우주의 연합의 등장과 유럽연합의 위기를 중심으로 한 유럽 의회의 동향 및 쟁점, 그리고 3부에서는 복지 확대와 자유주의의 위기에 중점을 둔 미국의 동향 및 쟁점을 담고 있다. 4부에서는 일본의 우경화와 변화하는 안보 정책을 중심으로 한 동향 및 쟁점을 다룬다. 마지막 부에서는 한국의 동향 및 쟁점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 부분에서는 통합 신당의 등장과 극단적 대립이 계속되고 있는 현재 한국 정치의 동향을 생생하게 분석함으로써 독자들에게 한국 사회의 갈등 양상에 대한 심도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 책은 정치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우리 사회의 통합에 대해 다시금 진지한 고민을 해 보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 책을 통해 한국 사회의 갈등 해소와 분열 치유의 과정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저자 소개
윤종빈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정회옥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박경미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유성진 이화여자대학교 스크랜튼학부 교수
장승진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의석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한정훈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김윤실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 과정
박병훈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 수료
김진주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 과정
박해림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부생
윤서영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부생
하종민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부생
박다은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부생
김예아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부생
차 례
제1부. 동유럽의 동향 및 쟁점
- 양극화, 반정부 시위, 그리고 에너지 안보 위기
제1장. 동유럽의 동향
제2장. 동유럽의 쟁점
제2부. 유럽 의회의 동향 및 쟁점
- 극우주의 연합의 등장과 유럽연합의 위기
제1장. 유럽 의회의 동향
제2장. 유럽 의회의 쟁점
제3부. 미국의 동향 및 쟁점
- 복지 확대와 자유주의의 위기, 그리고 양극화
제1장. 미국의 동향
제2장. 미국의 쟁점
제4부. 일본의 동향 및 쟁점
- 일본의 우경화와 변화하는 안보 정책
제1장. 일본의 동향
제2장. 일본의 쟁점
제5부. 한국의 동향 및 쟁점
- 통합 신당의 등장과 극단적 대립 정치의 지속
제1장. 한국의 동향
제2장. 한국의 쟁점
'인문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판적 도해력 (0) | 2015.02.26 |
---|---|
성호사설의 세계 (0) | 2015.01.23 |
한류와 아시아 팝문화의 변동 (0) | 2014.08.29 |
네모에 담은 지구 (0) | 2014.06.20 |
사카모토 료마와 메이지 유신 (0) | 201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