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참여가
민주주의를 살린다
펴낸곳 (주)푸른길
지은이 윤종빈·정수현 외, 미래정치연구소 편
정 가 13,000원
ISBN 978-89-6291-414-6 93340
사 양 152*225, 176쪽
초판 1쇄 발행일 2017년 6월 30일
분 야 사회과학>정치학
TEL 02-523-2907
FAX 02-523-2951
Homepage www.purungil.co.kr
담당 편집 조은혜(pur123@purungil.co.kr)
광장민주주의, 대의민주주의를 보완하다
대한민국을 혼란과 갈등의 늪에 빠지게 한 박근혜 전 대통령. 그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 의결과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은 조기 대선의 실시와 함께 우리 사회를 한번도 가 보지 못한 새로운 길로 이끌었다. 탄핵 과정에서 우리 국민들은 성숙한 시민의식과 평화적인 촛불시위를 보여 주었다. 그렇다면 국민들은 왜 거리로 나온 것일까? 젊은 세대의 정치적 무관심이 높고 투표참여율이 낮아져 대의민주주의가 위기에 봉착한 상황에서 수많은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촛불시위에 참여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 책은 우리 국민의 적극적인 촛불시위 참여에 대한 이해는 사회적자본에 대한 논의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시각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회적자본의 수준이 낮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투표참여는 저조한 편이며 정치 관심 또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그렇지만 촛불시위를 통해 광장민주주의가 대의민주주의를 보완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우리 국민들의 상호 간의 신뢰와 네트워크, 그리고 소통의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국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함께 논의하다
이 책은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의 정치학자들이 기획하고 저술한 것으로, 우리 정치의 현실적인 고민을 전문가 내부의 논의에만 그치지 않고 대중들과 공감대를 이루어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정치참여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통해 정치참여의 확대 방안을 제시하며(제1부 정치참여), 정치참여 중에서도 투표참여에 집중하여 투표행태란 무엇이고 이러한 투표참여가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본다(제2부 투표참여). 또한 사회적자본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사회적자본과 정치참여 및 민주주의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제3부 사회적자본), 사회통합과 정치, 그리고 정치적 관용을 소개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모색한다(제4부 사회통합과 정치적 관용). 이 책을 통해 급변하는 한국의 정치사회적 상황에서 우리 정당정치에 대한 전문가의 고민이 일반 대중에 전달되어 함께 논의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소개
윤종빈_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한수_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박경미_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정훈_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이재묵_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정진_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연구관
조원빈_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조진만_ 덕성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장승진_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정수현_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연구원
임유진_ 경희대학교 미래사회통합연구센터 교수
정회옥_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의석_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박지영_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교수
유성진_ 이화여자대학교 스크랜튼학부 교수
차 례
머리말
제1부 정치참여
01 촛불시위와 정치참여
02 누가 정치적 행동에 적극적인가?: 정치적 효능감과 정치참여
03 정당의 시민정치 교육과 정치참여
04 주민소환과 주민발의 그리고 직접민주주의
05 21세기형 정치참여: 정당정치를 중심으로
제2부 투표참여
06 투표행태에 대한 이론적 논의
07 투표참여의 당위와 현실을 둘러싼 논쟁
08 회고적 투표: 이론과 실제
제3부 사회적자본
09 왜 사회적자본인가?
10 사회적자본에 기반한 시민의 정치참여와 민주주의
11 사회적자본과 다양성, 그리고 다문화 사회
제4부 사회통합과 정치적 관용
12 사회통합과 정치
13 한국의 민주주의와 정치적 관용
14 정치적 관용과 민주주의: 이상과 현실
참고문헌
이 책을 기획하고 집필한 정치학자들
'인문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로학개론 (0) | 2017.07.13 |
---|---|
200년 동안의 거짓말: 과학과 전문가는 여성의 삶을 어떻게 조작하는가 (0) | 2017.07.07 |
과학 교사들을 위한 과학교육 강의 플랜 (0) | 2017.03.27 |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Ⅲ (0) | 2016.12.15 |
동네 안의 시민경제 (0) | 2016.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