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국적 이주와
환대의 지리학
펴낸곳 (주)푸른길
지은이 최병두
정가 26,000원
사양 152*225, 무선, 476쪽
ISBN 978-89-6291-439-9 93980
초판 1쇄 발행일 2018년 2월 1일
분야 지리학
TEL 02-523-2907
FAX 02-523-2951
Homepage www.purungil.co.kr
이방인의 환대와 정착을 위한 공간의 변증법적 전환
이 책은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에 관해 연구해 온 최병두 교수(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가 그간의 연구 결과물을 엮어 수정·편집한 것으로, 초국적 이주와 정착, 다문화사회로의 전환과 관련된 통계적·경험적 분석들과 방법론적·이론적 연구들을 포함하고 있다. 초국적 이주와 정착과정 및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방법론(제1부)에서 시작하여 아시아 및 한국에서 전개되는 초국적 이주와 정착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통계자료 분석(제2부) 및 한국에 이주정착하게 된 이주자들의 공간적 활동과 사회적 관계의 특성에 관한 설문조사 분석(제3부)을 거쳐 좀 더 개념적이고 철학적인 기반에서 서술된 상호문화주의 정책과 다문화사회의 윤리, 특히 환대에 관한 이론적 성찰(제4부)을 다루고 있다. 이 책에서 분명하게 주장하고자 하는 점은 이 주제에 관한 연구가 개별 학문 분야별로 분할되어 전개될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학제적, 통합적 방식으로 접근되어야 하며, 또한 상호문화주의에 근거한 정책, 나아가 환대의 윤리(공간)를 지향하는 이론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이다. 요컨대 이 책은 초국적 이주와 정착에 관한 객관적 지리학에서 초국적 이주자에 대한 ‘환대’의 (변증법적) 지리학으로의 전환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다문화 공생』, 『지구·지방화와 다문화 공간』을 통해서도 우리나라가 다문화사회로 전환하게 되면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들에 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함으로써 많은 시사점을 준 최 교수의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는 작년 『번역과 동맹: 초국적 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사회공간적 전환』에 이어서 이번에 발간한 『초국적 이주와 환대의 지리학』을 통해 클라이맥스에 다다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저자 소개
최병두
서울대학교 지리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과정을 마치고 영국 리즈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로, 자본주의의 불균등발전과 도시의 공간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한국공간환경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한국도시연구소 이사장,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관련 저서로는 『다문화 공생』, 『지구·지방화와 다문화 공간』(공저), 『희망의 공간』(공저), 『번역과 동맹』(공저) 등이 있고, 최근 역서로 『공간적 사유』, 『데이비드 하비의 세계를 보는 눈』, 『세계시민주의와 자유와 해방의 지리학』(근간) 등이 있다.
차 례
책을 펴내면서
제1부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 연구
제1장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 연구: 학제적·통합적 접근
1. 다문화 시대, 학제적·통합적 연구를 위하여
2.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3.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에 관한 학제적 접근
4.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에 관한 통합적 연구방법론 모색
5.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에 관한 대안적 관점과 정책 과제
6. 맺음말
제2장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의 지리학: 연구 동향과 주요 주제
1. 다문화사회로의 전환과 지리학
2. 지리학적 연구 동향
3.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에 관한 연구 방법론과 주제
4. 지리학적 연구의 전망과 과제
제2부 초국적 이주의 공간적 전개과정
제3장 아시아에서 초국적 이주의 전개과정과 특성
1. ‘유동적 공간’으로서 아시아
2. 아시아 국제이주에 관한 재이해
3. 아시아 국제 노동이주의 전개과정
4. 동아시아 국제 노동이주의 일반적 특성
5. 맺음말
제4장 한국의 다문화사회로의 전환과 사회공간적 변화
1. 다문화사회로 전환하는 한국
2. 외국인 이주자의 유입과 공간적 분포
3. 외국인 이주자의 정착과 원주민의 의식 변화
4. 초국적 이주의 거시적 배경과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5. 국민국가의 성격 변화와 외국인 이주 정책
6. 맺음말: 초국적 이주의 지리학을 위하여
제3부 초국적 이주자의 이주 및 정착 과정
제5장 초국적 이주자의 이주 배경과 의사결정 과정
1. 초국적 이주자는 왜 이주하는가?
2. 초국적 이주 배경에 관한 접근방법
3. 초국적 이주의 세계적, 국가적 배경 인식
4. 출신지역의 특성 및 정착지의 이미지
5. 개인적 상황 인식과 의사결정
6. 맺음말
제6장 초국적 이주자의 지역사회 정착과 사회공간 활동
1. 초국적 이주자의 정착과 활동 공간
2. 초국적 이주자의 지역사회 정착과 기본활동 공간
3. 초국적 이주자의 지역사회 정착
4. 초국적 이주자의 지리적 지식
5. 초국적 이주자의 기본활동 공간
6. 맺음말
제7장 결혼이주자의 사회네트워크의 특성과 변화
1. 결혼이주자는 어떻게 이주·정착하는가?
2. 초국적 이주의 사회공간적 네트워크
3. 이주과정에서 사회네트워크의 특성과 변화
4. 정착과정에서 사회네트워크의 특성과 변화
5. 결론
제4부 다문화사회 정책과 윤리의 지리학
제8장 상호문화주의로의 전환과 상호문화도시정책
1. 서구 다문화사회의 한계?
2. 다문화주의에서 상호문화주의로의 전환
3. 상호문화도시의 개념과 배경
4. 상호문화도시 프로그램의 시행과 정책 평가
5. 결론
제9장 다문화사회의 윤리적 개념과 공간
1. 다문화사회의 다양한 윤리적 개념들
2. 다문화사회에서 관용과 인정
3. 세계시민주의와 환대
4. 지구지방적 시민성과 스케일의 정치
5. 결론: 다문화사회의 윤리에 관한 공간적 성찰
제10장 이방인의 권리와 환대의 지리학: 칸트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1. 이방인을 어떻게 환대할 것인가?
2. 칸트의 세계시민적 환대의 권리
3. 데리다의 정치신학적 환대의 윤리
4. 맺음말
'지리의 이해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학자의 국토읽기 (0) | 2018.03.05 |
---|---|
현대 지리교육학의 이해 (0) | 2018.03.05 |
핵심개념으로 배우는 경제지리학 (0) | 2018.01.15 |
번역과 동맹: 초국적 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사회공간적 전환 (0) | 2017.09.05 |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바이칼호까지 극동 시베리아의 세 도시, 그리고 바이칼호의 성인과 주변 지형 (0) | 2017.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