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술

주제 중심의시민교육 방법 탐색

by 푸른길북 2021. 4. 12.

주제 중심의시민교육 방법 탐색

 

 

지은이이경한·박상준·정윤경·서현석·정영식·김성한

정 가16,000

ISBN978-89-6291-897-7 93370

사 양152*225, 212

초판 1쇄 발행일2021228

분 야사회과학>교육

 

인류의 대안교육으로 떠오른 시민교육!

시민교육의 A to Z, 나아갈 방향부터 실천 방법까지 알아보다

 

우리는 팬데믹을 살아가면서 깨달은 사실이 있다. 개개인은 나약한 존재라는 사실, 그리고 코로나19 바이러스만큼이나 우리 공동체 안에 잠재하고 있는 무지와 이기심도 극복해 내야 할 적이라는 사실이다.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도록 하는 시민교육의 중요성이 여기에 있다. 시민교육은 인류 공동체를 넘어서 환경 공동체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주체적인 삶을 지향하면서도 타자의 삶을 존중하도록 하는 의식이나 사고를 갖게 하기 때문이다.

주제 중심의 시민교육 방법 탐색은 전주교육대학교 시민교육역량강화사업단 사업의 일환으로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예비 교사의 시민교육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시민교육을 주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교수들이 집필했다. 집필진들은 시민교육이 인류가 닥친 문제를 해결하는 보편적인 대안교육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시민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실천 방법을 탐색하여 인권시민성, 생태시민성, 미디어시민성, 세계시민성, 디지털시민성, 인성시민성에 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민주주의와 민주시민교육의 관계, 민주시민교육의 정의와 교육 내용, 민주시민교육과 인권교육의 관계, 그리고 인권교육을 통한 민주시민교육의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2장에서는 생태계 위기와 생태적 시민성의 요구, 지속가능 발전의 지속가능성,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교육의 한계, 지속가능한 생태 시민교육의 탐색, 그리고 생태적 시민성과 민주시민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3장에서는 인간 의사소통의 특성과 교육의 필요성, 시민의 정체성과 미디어 리터러시, 배려적 사고를 반영한 의사소통 과정 모형, 그리고 시민교육을 위한 의사소통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4장에서는 우분투 정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 아프리카 우분투 정신에 대한 이해, 아프리카 우분투 정신에서 본 세계시민교육, 그리고 아프리카 우분투와 세계시민교육 실천을 제시하고 있다. 5장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 인공지능 사회에서의 교육, 그리고 인공지능과 디지털 시민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교육 콘텐츠 개발·보급 사업의 배경, 교육 콘텐츠 개발·보급 사업의 정의와 장점, 교육 콘텐츠 개발 사업의 실제, 문제가 될 수 있는 점과 보완 방법, 그리고 교육 봉사 활동을 통한 세계시민의 인성 계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시민교육의 꽃은 참여에 있다. 참여는 곧 연대를 지향한다. 시민교육은 코로나19 바이러스 등과 같이 전염병에 감염된 세계에서도 함께 연대하여 해결책을 찾으며, 우리가 겪는 고통 또한 거뜬히 극복할 수 있도록 길을 제시해 주고 있다. 특히 시민교육은 미래세대가 민주시민으로서의 태도와 가치를 가지고 사회 문제에 참여하며, 또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실천적 주체자로 성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 책은 그런 시민교육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를 받고 있다.

 

 

저자 소개

 

이경한

전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저서: 사회과 지리 수업과 평가, 어린이의 지리학, 남부 유럽 도시 기행, 국제이해교육 페다고지(공저)

 

박상준

전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저서: 사회과교육의 이해, 사회과 교재연구 및 교수법,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 역사와 함께 읽는 민주주의

 

정윤경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저서: 한국 교사교육: 성찰과 미래 방향(공저), 미래세대를 위한 인성교육(공저), 대안적 교사교육 탐색, 교사를 위한 교육철학

 

서현석

전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교원대 대학원 교육학 박사

저서: 배려연구(공저), 말하기 듣기 수업 과정 연구, 소통: 협력적인 의사소통의 방법-사회구성주의적 접근(공역)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

저서: AI 교육 혁명(공저), 소프트웨어 교육론(공저), 엔트리파이선 - 블록코딩에서 텍스트코딩으로!(공저)

 

김성한

전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저서: 나누고 누리며 살아가는 세상 만들기, 어느 철학자의 농활과 나누는 삶 이야기, 왜 당신은 동물이 아닌 인간과 연애를 하는가

 

 

차례

 

머리말

 

1장 인권교육을 통한 민주시민교육

1. 민주주의와 민주시민교육은 어떤 관계인가?

2. 민주시민교육이란 무엇인가?

3. 민주시민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치는가?

4. 민주시민교육과 인권교육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5. 인권교육을 통해 어떻게 민주시민교육을 할 수 있을까?

 

2장 생태적 시민성과 시민교육

1. 생태 위기와 생태적 시민성의 요구

2. 지속가능 발전은 지속가능한가?

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교육의 한계

4. 지속가능한 생태 시민교육의 탐색

5. 생태적 시민성과 민주시민교육

 

3장 의사소통교육과 시민교육

1. 인간 의사소통의 특성과 교육의 필요성

2. 시민의 정체성과 미디어 리터러시

3. 배려적 사고를 반영한 의사소통 과정 모형

4. 시민교육을 위한 의사소통교육의 방향

 

4장 아프리카 우분투 정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실천

1. 우분투 정신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

2. 아프리카 우분투 정신에 대한 이해

3. 아프리카 우분투 정신에서 본 세계시민교육

4. 아프리카 우분투와 세계시민교육 실천

 

5장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지털 시민교육

1. 인공지능의 개념

2. 인공지능 사회에서의 교육

3. 인공지능과 디지털 시민교육

 

6장 교육 봉사 활동을 통한 세계시민의 인성 계발

1. 교육 콘텐츠 개발·보급 사업의 배경

2. 교육 콘텐츠 개발·보급 사업의 정의와 장점

3. 교육 콘텐츠 개발 사업의 실제

4. 문제가 될 수 있는 점과 보완 방법

5. 교육 봉사 활동을 통한 세계시민의 인성 계발 방향

'인문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거버넌스  (0) 2021.05.14
프랑스의 정체성  (0) 2021.05.06
21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의 진화  (0) 2021.02.03
캠퍼스 임팩트 2020  (0) 2021.01.27
시민정치연감 2020  (0) 2021.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