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GEOMORPHOLOGY
지형학 입문
지형과 그 형성 과정
펴낸곳❘(주)푸른길
지은이❘에이드리언 하비
옮긴이❘이민부
정 가❘20,000원
ISBN❘978-89-6291-287-6 93980
사 양❘188*224*10, 180쪽
초판 1쇄 발행일❘2015년 6월 24일
분 야❘지리학>지리학의 이해
과학>지구과학>지형학
TEL ❘02-523-2907
FAX ❘02-523-2951
Homepage❘www.purungil.co.kr
담당 편집❘박미예(pur123@purungil.co.kr)
공간적·시간적 규모에서 살펴보는 지형과 그 형성 과정
우리는 아름다운 풍경을 즐기며, 멋진 경관을 감상한다. 이를 위해 먼 길 떠나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다. 여기서 풍경이란 대체적으로 산지나 하천, 바다와 같은 물리적 경관을 의미하는데, 지형학은 이렇게 우리가 바라보는 경관(지형)의 형상과 그 형성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저자는 이 책의 목적을 “지형 과학을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것”이라고 서문에 밝히고 있으며, “교재에 염두를 둔 것이 아니다.”라고도 하였다. 그래서 지형학을 공부하는 사람은 물론 지형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학문적 용어를 최소화하고, 물리적·화학적·수학적 내용도 최소한으로만 언급하였다. 또한 지형과 그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사진, 위성사진, 개념도 등을 함께 싣고 있는데, 특히 사진은 모두 저자가 직접 촬영한 것들이다.
1장에서는 지형의 공간적·시간적 규모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지형 진화를 유도하는 일차적인 힘들, 즉 내인적 힘(지질적 힘)과 외인적 힘(기후적 힘)을 소개한다. 2장에서는 판구조론과 기후 패턴을 바탕으로 전 지구적 규모의 지형을 다룬다. 3장에서는 20세기 전반부의 지형학 연구를 지배한 지역 규모의 지형학을 살핀다. 여기서는 데이비스의 지형 윤회 개념이 중요하며, 하계망의 발달과 패턴을 다룬다. 4장에서는 지형학의 기본 규모인 국지적 규모를 다룬다. 이 규모에서는 풍화와 퇴적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사면 체계, 하천 체계, 풍성 체계, 빙하 체계, 해안 체계로 나누어 살펴본다. 5장에서는 상대연대 및 절대연대 측정 기법을 설명하고, 두 가지 사례를 들어 시간에 따른 지형의 진화를 살펴본다. 6장에서는 지형학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다룬다. 인간이 지형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 지형학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본문에서 다룬 지형학 용어들을 간단한 설명과 함께 따로 정리해 놓았다.
지은이
에이드리언 하비(Adrian Harvey) 오랫동안 지형학 연구와 강의를 해 오다가 영국 리버풀 대학교에서 은퇴했다. 그동안 그는 지형학 관련 대표적인 학술지의 편집 책임자를 역임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형학에 대한 백과사전적인 지식을 집적하고 압축하여 간결한 입문서로 전환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옮긴이
이민부 1954년생.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환경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유타 대학교에서 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한지리학회장과 한국지형학회장, 한국교원대학교 제2대학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이민부의 지리블로그』(2009)와 『이민부의 세상을 담은 지리 교실』(2012)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지형분석』(1988), 『자연환경과 인간』(2000), 『중학교 환경』(2001), 『백두대간의 자연과 인간』(2002), 『환경교육론』(2003), 『한국지리지: 충청편』(2003), 『세계화 시대의 세계지리 읽기』(2005), 『북한의 환경변화와 자연재해』(2006), 『한국의 자연지리』(2008), 『지명의 지리학』(2008), 『The National Atlas of Korea』(2010), 『청람교육의 이해』(2011), 『고등학교 세계지리』(2012), 『Geography of Dokdo』(2013) 등이 있다. 공역으로는 『현대기후학』(2002), 『지구온난화』(2007), 『핵심 개념 자연지리학』(2013) 등이 있다. 감수로는 『지도로 보는 세계』(2005), 『세계가 궁금할 때 펼치는 나의 지도책』(2008), 『영월 지리여행』(2010) 등이 있다.
차례 | 옮긴이 서문 서문 감사의 글 |
Chapter 01 지형학 입문 1.1 ‘지형’의 의미는 무엇인가? 1.2 공간 규모의 의미 1.3 시간 규모의 의미 1.4 기본 동력의 의미 1.4.1 내인적(지질적) 동력 1.4.2 외인적(기후적) 동력 1.5 지형학 연구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
Chapter 02 전 지구 규모의 지형학 2.1 판구조론 논의 2.1.1 해저 2.1.2 전 지구 규모의 대륙 지형 2.2 전 지구적 기후 논의 2.2.1 기후 지형학 2.2.2 제4기의 기후변화 - 빙하 작용 2.2.3 플라이스토세의 기후 체계에 따른 또 다른 변화들 2.2.4 제4기의 해수면 변동 2.3 지구조의 힘과 기후의 힘 간의 전 지구적 규모의 상호작용 |
Chapter 03 지역 규모의 지형학 3.1 지역 규모의 구조 3.1.1 지역 규모의 판구조론적 구조 3.1.2 내인적 과정을 통한 기복의 직접적인 형성 3.1.3 암석-침식에 대한 저항 3.1.4 지질구조의 지형적 반영 3.2 지역 규모의 형성 작용-하계망 3.2.1 하계망 진화 3.2.2 하계망 구성 3.3 지역적인 규모 - 진화론 3.3.1 과거 경관의 증거 3.4 사례 - 유럽의 지역 규모의 지형학 |
Chapter 04 국지적 규모의 지형학 - 형성 과정 체계와 지형 4.1 풍화 체계 4.1.1 기계적 풍화 4.1.2 화학적 풍화 4.1.3 풍화 체계에 대한 기후의 영향 4.2 사면 체계 4.2.1 사면 형성 작용 4.2.1.1 암석 낙하와 애추 작용 4.2.1.2 포상류 4.2.1.3 매스무브먼트 작용(산사태 제외) 4.2.1.4 산사태 4.2.2 사면 형성 과정과 사면 종단면에 미치는 기후의 영향 4.3 하천 체계 4.3.1 하천 작용 4.3.2 기반암 하도 4.3.3 충적 하도 4.3.4 충적 지형 4.3.4.1 범람원 4.3.4.2 선상지 4.3.5 하천 변화 4.4 풍성 체계 4.4.1 풍성 작용 4.4.2 풍성 퇴적 지형 4.5 빙하 체계 4.5.1 빙하와 하천 빙상 작용 4.5.2 빙하성 및 하성-빙하성 침식 지형 4.5.3 빙하성 및 하성-빙하성 퇴적 지형 4.6 해안 체계 4.6.1 해안 형성 작용 4.6.2 침식 해안 4.6.3 퇴적 해안 4.6.4 해안 생물체와의 상호작용 4.6.5 해안 변화 4.6.6 호안선 |
Chapter 05 시간 규모와 지형 진화 5.1 경관 진화: 사례 - 컴브리아 칼링길의 제3기 후기의 경관들 5.2 상대연대 측정 5.3 절대연대 측정 5.4 시간 및 공간 규모 - 결합: 두 가지 사례 5.4.1 잉글랜드 북서부의 고지 5.4.2 에스파냐 남동부의 소르바스 분지 |
Chapter 06 지형학과 사회와의 상호작용 6.1 지형 체계에 미치는 인간의 영향 6.2 응용 지형학 6.3 교육과 연구에서의 지형학 |
더 읽을거리 용어해설 |
'지리의 이해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마도의 진실 (0) | 2015.06.29 |
---|---|
환경재해 (0) | 2015.06.25 |
지리 답사란 무엇인가 (0) | 2015.05.26 |
네트워크의 지리학 (0) | 2015.04.29 |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 (0) | 201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