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교육학 강의노트
펴낸곳❘(주)푸른길
지은이❘권정화
정 가❘15,000원
ISBN❘978-89-6291-297-5 93980
사 양❘152*225*15, 228쪽
초판 1쇄 발행일❘2015년 10월 15일
분 야❘역사/문화>지리학
교육학>지리교육학
대학교재>지리교육학
TEL ❘02-523-2907
FAX ❘02-523-2951
Homepage❘www.purungil.co.kr
담당 편집❘박미예(pur123@purungil.co.kr)
교육심리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지리교육학
- 교육학의 주요 패러다임과 연결 지어 살펴보는 계통지리, 지역지리, 생활세계 지리
지리교육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권정화 교수(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가 예비 지리 교사들을 위해 『지리교육학 강의노트』를 출간하였다. 지리는 학생들로 하여금 세계와 나를 비교 지역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과로서, 지리 교사는 이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수업 역량을 갖춰야 할 뿐만 아니라 지리적 사고의 가치를 인식하고, 삶의 문제를 지리적 상상력을 통하여 해석할 수 있는 안목도 갖춰야 한다. 즉 지리 교사에게는 지리학과 교육학이라는 두 학문의 관점이 모두 필요하다. 따라서 지리교육학은 자칫 난해하고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권 교수는 이러한 지리교육학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기존의 지리교육학 관련 책들과는 다른 새로운 체제로 책을 구성하였다.
지리교육학의 학문적 근간을 다루고 있는 이 책은 지리 교육을 그 내용에 따라 지역지리, 계통지리 그리고 생활세계의 지리로 구분하여 교육학의 주요 패러다임과 통시적으로 연관 지어 설명하고 있다. 근대 지리교육의 시초인 코메니우스에서 로크로 이어진 계통지리, 루소에서 페스탈로치로 이어진 생활세계 지리, 독일과 프랑스의 공교육으로부터 시작된 지역지리 교육의 전통을 간단히 살펴본 후, 본격적으로 각각을 지리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 등으로 세분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교육학의 주요한 패러다임을 교육심리학이라고 생각하는 저자는 이러한 내용을 인지심리학과 구성주의 심리학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한편 지리교사론은 최근의 포스트모더니즘 지식에 대한 논의를 통해 성찰하고 있다.
『지리사상사 강의노트』의 저자로도 유명한 권 교수는 그의 전작과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도 독자들이 지리교육학의 근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어체의 설명 방식과 적절한 예시를 사용한다. 특히나 그의 예시는 학문적 사례뿐만 아니라 학문적 내용을 단순화시킨 사례에 빗대어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지은이
권정화 1964년 경기도 의왕시 출생.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는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큐 같은 지리를 드라마 같은 지리로 바꾸고 싶어 지리사상사를 토대로 지리교육학을 공부해 왔고, 1998년 고 이우형 선생님을 만나면서 고지도 공부도 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요리 지리(식도락)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현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부회장과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논문으로는 「최남선의 초기 저술에서 나타나는 지리적 관심 - 개화기 육당의 문화 운동과 명치 지문학의 영향」 등이 있고, 저서로는 『지리사상사 강의노트』 등이 있다.
차례
머리말
프롤로그 지리 교육의 기원과 3대 전통
제1부 시민성 전수와 지역지리 교육
제1장 한국 근대 지리 교육의 효시, 『사민필지』
제2장 목적:국민적 덕목으로서의 애국심과 지역지리 교육
제3장 내용:국토지리와 세계지리의 교육과정
제4장 시민성의 형식과 미국식 교육학의 성립
제5장 지역지리 교육의 새로운 방향
제2부 인지심리학과 계통지리 교육
제6장 인지심리학 도입의 배경
제7장 목적:지식 구조에 따른 인지 구조의 형성
제8장 내용:모학문의 탐구 논리와 나선형 교육과정
제9장 방법(1):교수학적 변환과 학습자 이해
제10장 방법(2):탐구와 의사 결정 학습
제3부 구성주의와 생활세계의 지리 교육
제11장 구성주의 도입의 배경
제12장 목적:장소감을 넘어 공감적 이해를 향하여
제13장 내용:사적 지리와 청소년의 생활세계
제14장 방법:내러티브를 활용한 학습
제15장 평가:대안적 평가관의 모색
제4부 포스트모더니즘과 지리교사론
제16장 포스트모더니즘 도입의 배경
제17장 목적:정체성 형성을 통한 교사 전문성 향상
제18장 내용:제3공간 접근을 통한 교실 이해
제19장 방법:공동체 참여를 통한 교사 역량 강화
제20장 평가:수업 비평을 통한 교육적 감식안의 심화
에필로그 어떤 지리 교사가 될 것인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리의 이해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 정치생태학 : 환경-개발의 비판적 검토와 공동체 대안 (0) | 2016.03.04 |
---|---|
공간계획론 (0) | 2016.02.11 |
한반도, 서양 고지도로 만나다 (0) | 2015.07.29 |
한반도 지형론 (0) | 2015.06.30 |
대마도의 진실 (0) | 201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