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정치연감 2019
지역기반교육의 이론과 실천
펴낸곳 (주)푸른길
지은이 김의영·미우라 히로키
ISBN 978-89-6291-845-8 93340
사양 152*225, 508쪽
정가 30,000원
초판 1쇄 발행일 2019년 12월 20일
분야 사회과학>정치학
시민정치 연구의 지표와 연혁
이 책은 한국의 시민정치 현상에 관한 주요 연구논문과 사례 및 지표를 지속해서 축적하고 출판하는 것을 목적으로 서울대학교 사회혁신 교육연구센터가 기획한 연감이다.
정치는 의회·선거·정당 중심의 제도권 정치와 구별되는 시민의 일상적·직접적·적극적 정치참여 현상을 지칭하며 투쟁적 시민사회의 역사와 전통으로부터 광장의 촛불집회, 중앙 수준의 NGO와 시민운동, 각종 시민주도의 참여·직접·숙의 민주주의 제도와 사례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대상을 아우른다. 시민정치는 중앙 수준을 넘어 도시, 지역, 마을, 골목 곳곳에서 꿈틀거린다. 본 연감의 주된 관심은 주민들이 자치적으로 관과 협치하며 풀뿌리 생활정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일명 ‘동네 안의 시민정치’에 있다. 이 또한 주민조례제정운동, 주민참여예산제, 주민자치회,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역의 각종 협치위원회와 사회적경제 조직 등 실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모습들 가운데 첫 시도로서 지역을 기반으로 한 시민정치를 다루고 있다. 다음번에는 ‘주민자치회’를 주제로 풀뿌리 수준의 주민자치 제도와 현황에 대한 일련의 이론적·경험적 연구로 연감을 구성할 계획이다. 앞으로 시민정치연감은 영국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의 글로벌 거버넌스 연구소(Global Governance LSE)를 중심으로 매해 출간되는 『지구시민사회연감(Global Civil Society Yearbook)』과 같이 시민사회와 관련된 주요 주제를 다루는 일련의 학술적 연구를 축적하고 시민정치의 지표와 연혁을 기록하는 연감으로서 발돋움할 것이다.
이 책을 만든 사람들
교원 및 대학원 집필진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이현출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서정건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채진원
대구대학교 국제관계학과 이소영
서울대학교 사회혁신 교육연구센터 미우라 히로키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김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부 강예원·백현빈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김연숙
연세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허재영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손효동·안정배·이태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김한샘
전북대학교 국제인문사회학부 유인태
학부생 집필진
건국대학교 식량자원과학과 구본경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김종호·류명하·문진주·박주영·신유정·장유진·홍푸름
건국대학교 철학과 이윤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도지현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황채원
대구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박정훈·응웬티녹화이·이병훈·최별
대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김경민·박정섭·양인철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김상균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김예찬·조하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김민석·문도원·황재원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김정선·송우연·이동경·이정연·이지윤
숙명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부 송은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선회
연세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국제통상전공 유제현·이다슬·하상·박성은·최유향·Mami Nagao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이창민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 경제학과 서형원
연세대학교 역사문화학과 황보우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태호
차례
서문
제1부 시민정치 기획연구
제1장 지역 기반 시민정치 교육의 내부적 긴장성 문제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수업 사례의 분석과 시사점 | 김의영·미우라 히로키
제2장 대학-지역 연계 수업의 신뢰 영향에 대한 실험 연구 | 이태동·김의영·서정건·유인태·손효동·안정배
제2부 시민정치 교육과 현장 연구
제3장 대구대학교 갈등과 해결 세미나
_지역공동체의 다양한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모색 | 이소영
_대구 인구유출의 원인 및 해결방안 | 박정훈·응웬티녹화이·이병훈·최별
_대구 광역시 소상공인 상권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대학생 서포터즈 프로그램 | 김경민·박정섭·양인철
제4장 건국대학교 시민정치론
_광진구의 시민정치 | 이현출
_광진구의 풀뿌리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사례 분석
_마법방과후와 해오름사회적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 김종호·문진주·박주영·장유진
_마을공동체와 협동조합의 만남: 문화예술교육 협동조합 ‘함께누리’를 중심으로 | 류명하·신유정·홍푸름·구본경·이윤하
제5장 연세대학교 마을학개론
_마을학개론: 우리가 만드는 정치 | 이태동·김한샘
_마을미디어를 통한 청소년 지역사회참여 프로젝트
_2교시 마을영역 | 서형원·한선회·이창민
_화교와 연희동의 ‘연희(延禧) 닿다’: 화교인식 개선프로젝트 | 박태호·황보우진
제6장 숙명여자대학교 용산구 지역정치 프로젝트: 융합 정치학 캡스톤 디자인
_용산구 지역정치 프로젝트 | 김연숙
_용산구, 관내기업, 숙명여자대학교 세 주체가 함께하는 취업 지원 클러스터: CLUE | 김정선·이동경·송은서
_용산구 횡단보도 및 신호기 개선방안 제언 | 송우연·이정연·이지윤
제7장 서울대학교 거버넌스의 이해
_거버넌스의 이해: 강동구 마을만들기 기본계획 연구 프로젝트 | 김의영
_강동고 강동락 애플리케이션 개발 | 김민석·문도원·황재원
_사이와 아이야를 통해 들여다본 마을 지속성의 요인 | 김상균·김예찬·조하연
제8장 연세대학교 세계화시대의 로컬거버넌스
_외국인 유학생의 시선으로, 경계인을 넘어서 | 허재영
_외국인을 위한 서울특별시 버스 개선 방안 | Mami Nagao·박성은·최유향
_연세대학교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교내·외 생활 가이드라인 소책자 | 이다슬·하상· 유제현
제9장 경희대학교 세계와 시민: 현장조사활동(CBL) 프로젝트
_세계와 시민: 현장조사활동(CBL) 프로젝트 | 채진원
_동대문구 ‘희망 만들기 방과후 학교’ 교육봉사 체험기록 | 도지현
_5·18구속부상자회를 통한 광주역사문화탐방과 쟁점기록 | 황채원
제3부 시민정치 데이터 연구
제10장 지역 창발력 탐구
시민, 지자체, 지역사회의 시너지와 기초 데이터 소개 | 미우라 히로키·김의영
'인문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 다양성과 사회 통합Ⅴ (0) | 2020.04.22 |
---|---|
캠퍼스 임팩트 2019: 서울대학교 사회혁신 교육 프로젝트 (0) | 2019.12.12 |
시민정치 현장연구: 참여·분석·제안 (0) | 2019.11.25 |
공감, 대한민국을 바꾼다 (0) | 2019.09.02 |
한국의 당원을 말하다 (0) | 2019.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