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술

캠퍼스 임팩트 2019: 서울대학교 사회혁신 교육 프로젝트

by 푸른길북 2019. 12. 12.

 

 

 

 

 

 

 

캠퍼스 임팩트 2019

: 서울대학교 사회혁신 교육 프로젝트

 

 

 

 

펴낸곳 ()푸른길

지은이 사회혁신 교육연구센터

정 가 30,000

ISBN 978-89-6291-846-5 93300

사 양 152*225, 452

초판 1쇄 발행일 20191223

분 야 사회과학사회과학일반

 

 

 

 

 

 

 

 

대학 주도의 사회혁신 모델 찾기

사회혁신 교육의 바로미터를 제시하다

 

이 책은 서울대학교 사회혁신 교육연구센터의 2019년 교육·연구·실천 프로젝트의 성과를 모은 것으로, 정치외교학·인류학·사회복지학·사회학·언론정보학·경제학 등 6개 사회대 학부의 전공수업 학생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한 결과물이다. 이 책의 집필진으로 참여한 교수, 대학원생, 학부생만 총 59명이며, 그 내용은 각 수업의 취지와 방법론 및 내용에 대한 담당 교수진의 간략한 소개와 분석, 수강생들이 수행한 대표 사례연구, 그리고 수강생들에 대한 사회혁신 의식조사로 이루어져 있다. 교육·연구·실천 프로젝트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프로젝트의 목표는 교육, 연구, 실천의 세 가지 측면을 아우르고 있다. 딱딱한 강의실에서 두꺼운 교과서 위주로 이루어지던 주입식 교육을 벗어나 지역 현실과 사회문제 현장에 뛰어들어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한 살아 있는 교육을 함께 실행한다. 지역사회혁신 지향 수업, 즉 캠퍼스 임팩트를 실현하는 것이다.

대학생은 사회혁신의 당사자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주변에서 일어나는 혁신적 트렌드나 사회규범적 동향에 민감한 반응력과 감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젊은 세대, 특히 대학생의 의식 변화를 대학 교육과 결합시켜서 파악하는 것은 보다 심도 있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적 동향을 파악하는 데 유익하다. 이러한 목적에서 수행된 대학생 사회혁신 의식조사는 대학이란 본디 사회에 필요한 지식 창출의 현장이자 미래 인재의 지적 성장을 위한 거점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일깨워 준다. 향후 본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더 많은 관련 수업이 사회대 전공별로 개설된다면, 지역참여형·사회문제해결형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공적·시민적 의식과 역량 및 리더십 함양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새로운 대학의 교육·연구·실천 프로젝트 모델을 제시하고, 사회대를 넘어 서울대 전체 그리고 궁극적으로 전국 모든 대학에서 활용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저자 소개

 

 

교수 집필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주병기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정민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추지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홍화정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정향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김의영

 

대학원생 집필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신지섭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염태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정수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손성규, 엘리사 로메로

서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김태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강예원, 백현빈

 

학부생 집필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김소현, 박선업, 이병하, 이재용, 황현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위성수, 정영록, 조용준

서울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박다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선재, 김진경, 박지희, 여성원, 정진우, 최한림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고휘성, 김도윤, 김민기, 박서범, 소현성, 윤지혜, 이준호, 지정윤, 홍성빈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유은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고은지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서지희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강나희, 송모연, 정지영, 한주예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김민성, 김수정, 신원, 유다형, 허예인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유은식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김유빈, 박서라, 박하영, 이태경

서울대학교 조소과 손유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남성훈

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승두, 엄기호

 

 

차례

 

 

서문

 

1부 지역기반·문제해결 수업의 실천과 지식창조

1_ 정치외교학부 <거버넌스의 이해>

거버넌스의 이해: 강동구 마을만들기 기본계획 연구 프로젝트

성공적인 강동구 마을공동체 활성화 교육을 위한 제언: 이론 및 사례연구를 통한 준거 도출과 강동구 교육 프로그램에의 적용

게네마을축제를 통해 알아본 지역축제의 성공요인

 

2_ 인류학과 <공연예술의 인류학>

공연예술의 인류학

뮤지컬이 아닌, 뮤지컬이 아닌 것도 아닌: 뮤지컬 장르 경계넘기의 역설

봉천은 우리 마당, 우리 마을: 봉천놀이마당의 공동체적 활동과 공연연행을 중심으로

 

3_ 사회복지학과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론

천호 성매매 집결지의 성매매 피해자 등의 자활지원 조례제정을 둘러싼 세력관계와 입법과정 분석

학교 부실 석면제거공사에 대한 학부모 조직과 지역사회의 대응과 함의

 

4_ 사회학과 <사회학 연구실습>

사회학 연구실습

본토배기의 의미와 지역공동체: 강화도 00리 주민갈등을 중심으로

흔들려도 괜찮아: 학벌주의의 경계를 넘나드는 청년들의 이야기

 

5_ 언론정보학과 <창의 연구 실습>

다양한 사회 집단의 포용을 위한 디자인과 기술의 활용

메디핸드(Medihand): 발달장애아동 의료기록 관리 PHR 플랫폼

번아웃 회복 및 예방을 위한 활동 가이드 앱, ‘삶은 달걀

 

6_ 경제학부 <불평등과 사회정의>

불평등과 사회정의

한국사회에서의 성장단계별 교육기회불평등에 대한 보고

노동 이슈를 보도하는 한국 언론지형의 균형성 평가: 3개의 산업재해 사건을 중심으로

 

2부 대학생 사회혁신 의식조사

7_ 사회참여와 지식창조, 대학교육에 관한 대학생 의식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