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리의 이해145

한국역사지리 한국역사지리 푸른길학술_008 펴낸곳❘(주)푸른길 엮은이❘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지은이❘이준선 외 정 가❘30,000원 ISBN❘978-89-6291-171-8 93980 사 양❘188*254, 576쪽 초판 1쇄 발행일❘2011년 9월 9일 분 야❘사회과학>지리학 과거의 지리를 복원하다 역사지리학은 시간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학과 공간의 문제를 다루는 지리학이 서로 끊임없이 교류하면서 성립된 통섭의 학문이다. 다시 말하면 시간과 공간을 다루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지리학에서 다루는 시간과 공간은 지리적 현상에 대해서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기본 개념이다. 따라서 동서양 사상 체계의 근간을 이루며 학문 발달의 과정에서도 주목할 만한 족적을 남겼다. 하지만 역사지리학의 연구 방법은 다소 모호하고.. 2011. 9. 2.
촌락지리학 촌락지리학 펴낸곳 ❘ (주)푸른길 지은이 ❘ 이전 정 가 ❘ 15,000원 ISBN ❘ 978-89-6291-170-1 93980 사 양 ❘ 152*225, 192쪽 초판 1쇄 발행일 ❘ 2011년 9월 5일 분 야 ❘ 역사/문화 > 지리학 Homepage❘www.purungil.co.kr 국토 면적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촌락, 바로 그 촌락에 관한 지리학 입문서! 촌락은 근대 지리학의 태동부터 오늘날까지 지리학의 주요 관심 대상이었다. 비록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인구가 도시에 집중하게 되면서 학문적 관심이 촌락보다는 도시에 집중될 수밖에 없었지만, 현재에도 촌락지리학은 도시지리학과 함께 취락지리학의 핵심 분야이다. 우리나라 역시 인구의 80%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지만, 정작 도시가 전 국.. 2011. 9. 1.
다문화공생 다문화 공생 _푸른길 학술 007 펴낸곳 ❘ (주)푸른길 지은이 ❘ 최병두 정 가 ❘ 22,000원 ISBN ❘ 978-89-6291-169-5 93330 사 양 ❘ 152*225, 368쪽 초판 1쇄 발행일 ❘ 2011년 8월 31일 분 야 ❘ 역사/문화 > 지리학, 문화일반 사회 > 사회학, 사회일반 외국인 이주자의 유입, 단일 민족ㆍ단일 문화를 위협하는 위험한 타자인가?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을 추동하는 새로운 구성원인가? 자본주의 경제의 세계적 확장과 교통ㆍ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지구화의 추세는 상품이나 자본뿐만 아니라 사람과 문화의 초공간적 이동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발전한 동북아시아 국가들에 외국인 이주자들의 유입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 흔.. 2011. 9. 1.
도시 열섬 : 대책과 기술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다!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열섬 현상의 모든 것 지구가 따뜻해지는데 왜 문제인걸까? 흔히들 지구는 ‘살아있는 별’이고 달은 ‘죽은 별’이라고 한다. 지구를 살아있는 별이라고 하는 이유 중 하나는 대기와 물의 증발을 이용해 스스로 체온(?)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의 생활 영역을 넓히기 위한 무차별적인 도시의 확장과 개발은 지구를 살아 숨 쉬게 하던 열 대사 기능을 무너뜨렸고, 그것은 지금에 이르러 지구 온난화 현상이라는 이름의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되었다. 사실 온난화 현상이 관측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 아니다. 지난 19세기에 이미 런던과 파리 등 대도시 지역에서 일어나 소수의 학자들에게 인식되고 있었다. 다만 처음에 사람들은 ‘지구의 온도가 올라간다’ 는 사실을.. 2011. 8. 11.
완벽한 빙하시대 선구적인 과학자들이 선사하는 기후변화의 조감도 현대 사회를 조망하기 위한 필독서 꽁꽁 얼어붙은 지구? 빙하시대의 진실을 찾아서 몇 년 전 아이스에이지라는 애니메이션이 극장가에 개봉해서 시리즈를 거듭하여 제작될 만큼 인기를 끌었다. 이 인기의 비결은 생동감 넘치고 유쾌한 주인공들에게 있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은 활약을 보여 준 주인공은 역시 빙하시대의 경관 그 자체였다. 빙하시대의 동물 친구들이 이미 떠나버린 인간 무리를 쫓아 이리저리 헤매는 동안 나타나는 빙하시대의 다양한 경관들은, 눈보라 치는 하늘과 모조리 얼어붙어서 새하얗기만 한 지구로 기억된 고요한 빙하시대의 이미지를 완전히 바꿔 놓는다. 우리는 이제 빙하시대에 얼마나 많은 풍경들이 숨어 있는지 알고 있다. 그렇다면 그 다채로운 풍경들이 들려주는 .. 2011. 4. 6.
도시 연구 새로운 도시의 출현인가? 21세기 도시의 실체에 관한 지리학적 탐구 도시의 다양한 이슈를 다룬 간결하고 체계화 된 도시지리학 입문서 21세기의 도시는 탈산업화의 영향과 경제적ㆍ문화적 세계화의 압력, 환경적ㆍ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요구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도시의 경제와 경관, 환경 및 사회지리 역시 이러한 추세에 따라 더불어 변화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전 세계 토지 면적의 2%밖에 되지 않지만 세계 인구의 50%를 수용하고 있다. 이는 한정된 도시 공간에 수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며, 현재와 미래의 세계가 당면할 대부분의 이슈가 도시에서의 삶에 초점이 맞춰질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따라서 이제는 도시지리학을 접하지 않고는 이론적으로든지 실제 생활에서든지 외부 세.. 2011.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