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리의 이해/학술

지구ㆍ지방화와 다문화 공간

by 푸른길북 2011. 3. 21.

 

 

다문화 사회로의 원활한 전환을 위한 ‘공간적’ 연구

지구ㆍ지방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새로운 시도

 

최근에 눈여겨 볼 수 있는 경제활동의 지구ㆍ지방화와 국가 간 불균등 발전의 심화에 따른 경제수준 격차의 확대, 그리고 교통과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시공간적 압축 현상 등은, 상품과 자본의 이동뿐만 아니라 노동력의 국제적 이동을 더욱 촉진시키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예외 없이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들로 인해 1990년대 이후 외국인 이주자들의 대규모 유입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처럼 외국인 이주자의 대규모 유입과 지역사회의 정착, 그로 인한 일상생활에서의 만남 증대와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이들을 인식하고 지원하는 활동 등은 우리 사회도 이제 다양한 인종과 문화로 구성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관련 학문 분야에서의 연구 증대를 가져왔으나, 그간에는 주로 사회적 차원에서 다루어진다는 점에서 그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주지하듯 외국인 이주자들의 이주 과정 및 정착 과정은 분명 사회적일 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현상이다. 그런 면에서 이번에 푸른길 학술 시리즈의 일환으로 발간된 ‘지구ㆍ지방화와 다문화 공간’은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 새로운 관점, 즉 기존의 연구들에서 간과되었던 공간적 차원을 강조하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은이들은 ‘다문화 공간(multicultural space)’이라는 개념을 전제로 하고 있다. ‘다문화 공간’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지구ㆍ지방적 차원에서 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문화적 교류 및 혼재와 관련된 사회공간적 현상들”로 우선 이해될 수 있다.

이 책은 이와 같은 다문화 공간의 개념에 기반을 두고, 지구ㆍ지방화 과정에서 결혼 이주자, 이주 노동자, 전문직 이주자, 외국인 유학생 등 다양한 유형의 외국인 이주자들이 보여 주는 국제 이주 과정과 지역사회 정착 과정에 대한 연구 성과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다문화 공간에 대한 이론화와 접근 방법론’을 다루고 있으며, 제2부에서는 ‘각 유형별 외국인 이주자들의 국제 이주 및 국내 정착 과정에 관한 통계 자료 분석에 근거한 경험적 연구’들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제3부에서는 ‘각 유형별 외국인 이주자들이 경험한 국제 이주의 거시적 배경에서부터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미시적 환경에 대한 다양한 요소들의 인식에 관한 설문 조사 및 심층 면접을 분석한 연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차례

 

책을 펴내면서

 

제 1 부 이론적 배경: 공간적 접근

 

1. 다문화 공간과 지구ㆍ지방적 윤리

2. 초국가적 이주와 정착에 대한 공간적 접근

 

제 2 부 다문화 공간 형성의 배경과 지리적 특성

 

3. 결혼 이주 여성 유입과 분포의 지리적 특성

4. 이주 노동자의 유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5. 전문직 이주자 현황과 지리적 분포 특성

6. 세계의 유학생 이동과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특성

 

제 3 부 다문화공간에 대한 인식과 적응 요인

 

7. 결혼 이주 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요인

8. 이주 노동자의 일터와 일상생활의 공간적 특성

9. 전문직 종사 외국인의 국내 적응의 차이

10.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과정과 주요 배경 요인

 

 

집필진

 

최병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및 동대학원 지리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영국 리즈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역ㆍ저서로는 비판적 생태학과 환경정의, 신자유주의(역), 공간적 사유(역) 등이 있다.

 

임석회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및 동대학원 지리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동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교 지리학과 박사후 과정 연구원을 지냈다. 한국부동산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위원 등을 지냈으며, 현재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안영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및 동대학원 지리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동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독일 뮌헨공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역ㆍ저서로는 대학과 지역발전(저), 중심지이론(역), 공업입지론(역) 등이 있다.

 

박배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싱가포르 국립대학 지리학과의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역개발의 정치, 자본주의 국가의 공간성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Political Geography, Economic Geography,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공간과 사회, 한국경제지리학회지 등 국내외 저명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지리의 이해 > 학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벽한 빙하시대  (0) 2011.04.06
도시 연구  (0) 2011.04.05
북중접경지역 : 전환기 북중 접경지역의 도시네트워크  (0) 2011.02.25
[조선기행록] 고토 분지로 지음  (0) 2010.12.13
지명의 지리학  (0) 2008.06.03